엑토르 스카로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엑토르 스카로네는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주로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에서 활약하며 21번의 공식 대회 우승을 기록했다. 그는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역대 최다 득점 3위이며, 301골을 넣은 아틸리오 가르시아에 이어 구단 역대 최다 득점 2위에 해당한다. 스카로네는 우루과이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4번의 코파 아메리카 우승, 2번의 올림픽 금메달, 그리고 1930년 FIFA 월드컵 우승을 경험했다.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 활동했으며, 미요나리오스 FC, 나시오날, 레알 마드리드 등의 팀을 지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선수 - 네쿠
네쿠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코린치안스에서 활약하며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에서 8번 우승하고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코파 아메리카에서 우승 및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감독으로서도 코린치안스를 이끌고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우승을 달성했다. - 축구 인사이드 포워드 - 헤르베르트 칼손
헤르베르트 칼손은 스웨덴 축구 선수로, IFK 예테보리에서 스웨덴 선수권 우승 후 미국 아메리칸 사커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스웨덴 국가대표로 20경기 19골을 기록, 1920년 하계 올림픽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19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선수 - 네쿠
네쿠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코린치안스에서 활약하며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에서 8번 우승하고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코파 아메리카에서 우승 및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감독으로서도 코린치안스를 이끌고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우승을 달성했다. - 1919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선수 - 아르투르 프리덴라이히
브라질 축구 역사상 중요한 인물인 아르투르 프리덴라이히는 독일계 아버지와 아프리카계 브라질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인종차별을 극복하고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코파 아메리카 우승을 이끌었고 상파울루 리그 득점왕을 차지한 뛰어난 득점력을 가진 '조고 보니토' 스타일의 선구자이다.
엑토르 스카로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엑토르 페드로 스카로네 베레타 |
출생일 | 1898년 11월 26일 |
출생지 |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사망일 | 1967년 4월 4일 |
사망지 |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신장 | 1.69 m |
포지션 | 인사이드 포워드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해당사항 없음 |
1917–1926 | 나시오날 (115경기, 108골) |
1926–1927 | 바르셀로나 (18경기, 17골) |
1927–1931 | 나시오날 (45경기, 39골) |
1931–1932 | 인테르 (14경기, 7골) |
1932–1934 | 팔레르모 (54경기, 13골) |
1934–1939 | 나시오날 (31경기, 16골) |
총 경기 수 | 277 |
총 득점 수 | 200 |
국가대표 경력 | |
1917–1930 | 우루과이 (51경기, 31골) |
수상 내역 | |
올림픽 | 1924 파리: 금메달 (팀) 1928 암스테르담: 금메달 (팀) |
FIFA 월드컵 | 1930 우루과이: 우승 |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1917 우루과이: 우승 1923 우루과이: 우승 1924 우루과이: 우승 1926 칠레: 우승 1919 브라질: 준우승 1927 페루: 준우승 1929 아르헨티나: 3위 |
감독 경력 | |
1947–1948 | 미요나리오스 |
1951–1952 | 레알 마드리드 |
1954 | 나시오날 |
2. 클럽 경력
스카로네는 클럽 경력 대부분을 나시오날에서 보냈으며, 약 20년간 활약하며 총 21번의 공식 대회 우승을 경험했다. 그는 나시오날 소속으로 공식 경기 369경기에 출전하여 301골을 기록했는데, 이는 아틸리오 가르시아에 이어 구단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은 득점이다. 또한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는 163골로 역대 최다 득점 3위에 올라 있다.[15] 나시오날 외에도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이탈리아의 인테르나치오날레, 팔레르모 등 유럽 리그에서도 활약했다.[15] 그의 형인 카를로스 스카로네 역시 나시오날의 전설적인 선수였다.[15]
2. 1. 나시오날
엑토르 스카로네는 클럽 경력 대부분을 나시오날에서 보냈다. 15세 때 키가 1.7m에 불과한 왜소한 체격과 가냘픈 다리 때문에 입단이 거절되기도 했으나, 1년 뒤 입단 요청이 수락되어 2군에 합류했다. 2군에서 단 5경기를 뛰고 1군으로 승격되어 자신의 실력을 증명했다.[14]1898년 몬테비데오에서 태어난 스카로네는 1917년부터 나시오날 소속이 되었다. 입단 1년 만에 주전 선수로 자리 잡으며 그 해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경험했다. 이후 다른 팀으로 잠시 이적하기 전까지 5번의 리그 우승을 더 달성했다. 1926년 스페인의 바르셀로나로 이적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본인의 희망에 따라 다시 나시오날로 돌아왔다.
이후 이탈리아의 인테르나치오날레(당시 AS 암브로시아나-인테르)와 팔레르모에서 활약하다가, 1934년 시즌 도중 친정팀인 나시오날로 다시 복귀했다. 복귀 1년 만에 클럽 통산 8번째 우승을 이끌었으며, 당시 36세였음에도 불구하고 기량은 여전했다. 그는 41세까지 나시오날에서 선수로 뛰었고, 마지막 해에도 골을 기록했다.
스카로네는 나시오날에서 총 20년 동안 활약하며 21번의 공식 대회 우승을 거머쥐었다. 공식 경기 369경기에 출전하여 301골을 기록했는데, 이는 아틸리오 가르시아에 이어 구단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은 득점 기록이다. 또한,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는 163골로 역대 최다 득점 3위에 올라 있다.[15] 그의 형인 카를로스 스카로네 역시 나시오날의 전설적인 선수였다.[15]
2. 2. 해외 리그
스카로네는 나시오날 외에도 스페인과 이탈리아 리그에서 활약했다.[15] 1926년 스페인의 FC 바르셀로나로 이적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본인의 희망에 따라 우루과이로 귀국하여 다시 나시오날로 돌아갔다. 이후 이탈리아로 건너가 AS 암브로시아나-인테르 (현 인테르나치오날레)로 이적했다. 1932년에는 US 치타 디 팔레르모 (현 팔레르모)로 팀을 옮겨 활약했다. 1934년 시즌 도중에는 다시 친정팀인 나시오날로 복귀했다.3. 국가대표팀 경력
스카로네는 1917년부터 우루과이 대표팀에 소집되어 활약했다. 그는 대표팀의 핵심 선수로서 코파 아메리카 4회 우승(1917년, 1923년, 1924년, 1926년), 월드컵 출범 이전 세계 최고 권위 대회로 인정받던[16][17] 하계 올림픽 2회 연속 금메달(1924년, 1928년)[18], 그리고 우루과이에서 열린 초대 1930년 FIFA 월드컵 우승을 이끌며 조국에 수많은 영광을 안겼다.
특히 19세에 불과했던 191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아르헨티나와의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넣어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그의 4번째 국가대표팀 경기였다.
그는 1930년 FIFA 월드컵 우승을 끝으로 국가대표팀 경력을 마무리했으며, 통산 52경기에서 31골(비공식 경기 제외)을 기록했다. 이 득점 기록은 2011년 디에고 포를란에 의해 경신되기 전까지 무려 80년 이상 우루과이 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 기록으로 남아 있었다.
3. 1.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그는 우루과이 국가대표로서 1917년, 1923년, 1924년, 그리고 1926년에 4차례 남미 선수권 대회 우승을 경험했다. 또한 월드컵 출범 전 세계 선수권 대회의 위상을 가졌던[16][17] 하계 올림픽에서도 1924년 파리 올림픽과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8]특히 19세였던 191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아르헨티나와의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넣어 우승을 확정지었는데, 이는 그의 4번째 국가대표팀 경기였다.
스카로네는 1930년 월드컵 우승을 끝으로 국가대표팀 경력을 마무리했다. 그는 총 52경기에 출전하여 31골을 기록했는데 (이 중 비공식 경기 21골 제외), 이 기록은 디에고 포를란이 2011년에 경신하기 전까지 우루과이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 기록으로 남아 있었다. 1930년 7월 21일 루마니아를 상대로 기록한 골은 FIFA 월드컵 본선 역사상 19세기에 태어난 선수가 기록한 마지막 골이기도 하다.
''아래 표의 점수에서 왼쪽은 스카로네의 득점 당시 우루과이의 점수이며, 결과에서 왼쪽은 우루과이의 최종 점수이다.''
# | 날짜 | 장소 | 상대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 1917년 10월 7일 | 파르케 페레이라,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브라질 | 1–0 | 4–0 | 191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2. | 1917년 10월 14일 | 파르케 페레이라,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1–0 | 1–0 | |
3. | 1918년 7월 28일 | 파르케 페레이라,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1–0 | 3–1 | 1918년 코파 프레미오 오노르 우루과요 |
4. | 1919년 5월 13일 | 이스타지우 다스 라랑제이라스,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아르헨티나 | 2–0 | 3–2 | 1919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5. | 1919년 7월 18일 | 파르케 페레이라,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1–0 | 4–1 | 1919년 코파 프레미오 오노르 우루과요 |
6. | 3–0 | |||||
7. | 1919년 9월 17일 | 에스타디오 힘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 1–0 | 2–1 | 1919년 코파 리프톤 |
8. | 2–0 | |||||
9. | 1919년 12월 7일 | 파르케 페레이라,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3–1 | 4–2 | 1919년 트로페오 시르쿨라르 |
10. | 1920년 7월 18일 | 에스타디오 그란 파르케 센트랄,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1–0 | 2–0 | 1920년 코파 프레미오 오노르 우루과요 |
11. | 1923년 11월 4일 | 에스타디오 그란 파르케 센트랄,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파라과이 | 1–0 | 2–0 | 1923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12. | 1924년 5월 26일 | 이브-뒤-마누아르, 콜롱브, 프랑스 | 유고슬라비아 왕국 | 2–0 | 7–0 | 19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
13. | 1924년 5월 29일 | 스타드 베르제르, 파리, 프랑스 | 미국 | 2–0 | 3–0 | |
14. | 1924년 6월 1일 | 이브-뒤-마누아르, 콜롱브, 프랑스 | 프랑스 | 1–0 | 5–1 | |
15. | 2–1 | |||||
16. | 1924년 6월 6일 | 이브-뒤-마누아르, 콜롱브, 프랑스 | 네덜란드 | 2–1 | 2–1 | |
17. | 1926년 10월 17일 | 에스타디오 스포르트 데 뉴뇨아, 산티아고, 칠레 | 칠레 | 3–0 | 3–1 | 1926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18. | 1926년 10월 28일 | 에스타디오 스포르트 데 뉴뇨아, 산티아고, 칠레 | 볼리비아 | 1–0 | 6–0 | |
19. | 2–0 | |||||
20. | 3–0 | |||||
21. | 4–0 | |||||
22. | 6–0 | |||||
23. | 1927년 8월 29일 | 에스타디오 미니스트로 브린 이 셍겔,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 1–0 | 1–0 | 1927년 코파 리프톤 |
24. | 1927년 11월 6일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리마, 페루 | 볼리비아 | 9–0 | 9–0 | 192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25. | 1927년 11월 20일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리마, 페루 | 아르헨티나 | 1–0 | 2–3 | |
26. | 2–2 | |||||
27. | 1927년 12월 10일 | 비냐 델 마르, 칠레 | 칠레 | 3–2 | 3–2 | 친선경기 |
28. | 1928년 5월 30일 | 올림픽 경기장,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네덜란드 | 1–0 | 2–0 | 1928년 하계 올림픽 축구 |
29. | 1928년 6월 7일 | 올림픽 경기장,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이탈리아 | 3–1 | 3–2 | |
30. | 1928년 6월 13일 | 올림픽 경기장,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아르헨티나 | 2–1 | 2–1 | 1928년 하계 올림픽 축구 금메달 결정전 재경기 |
31. | 1930년 7월 21일 |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루마니아 | 2–0 | 4–0 | 1930년 FIFA 월드컵 |
4. 감독 경력
선수 은퇴 후, 스카로네는 축구 감독이 되었다. 그는 콜롬비아의 미요나리오스가 아직 아마추어 팀이던 1947년부터 1948년까지 팀 창단 이후 두 번째 감독을 맡았다.[15][7] 1950년대에는 친정팀인 나시오날과 스페인의 레알 마드리드 감독직을 역임했다.[15][7] 레알 마드리드에서는 2시즌 동안 팀을 이끌며 첫 시즌에는 9위, 두 번째 시즌에는 3위를 기록했다. 또한 우루과이 대표팀 감독도 맡았다.
스카로네는 1967년, 몬테비데오에서 나시오날의 경기를 관람한 후 6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5][7] 그의 장례식에서 동료였던 호세 나사시는 "우리는 젊고, 강하고, 하나였습니다... 우리는 불멸이라고 생각했었죠."[14] 라고 추모했다.
5. 수상 내역
엑토르 스카로네는 선수 시절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수많은 우승을 경험했다. 나시오날 소속으로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을 비롯한 다수의 국내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유럽에서는 바르셀로나 소속으로 코파 델 레이 우승을 경험했다.
우루과이 국가대표로서는 월드컵, 코파 아메리카, 하계 올림픽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여러 차례 정상에 오르는 등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자세한 수상 내역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클럽
스카로네는 클럽 무대에서 대부분의 현역 생활을 나시오날에서 보냈으며, 이 기간 동안 총 21번의 공식 대회 우승을 경험했다. 그는 나시오날 소속으로 공식 경기 369경기에 출전하여 301골을 기록하는 뛰어난 득점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아틸리오 가르시아에 이어 구단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은 득점 기록이다.[15] 또한,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는 통산 163골을 넣어 역대 득점 3위에 올라 있다. 스카로네는 무려 20년 동안 나시오날과 함께하며 구단의 전설적인 선수로 자리매김했다.[15]흥미롭게도 스카로네는 15세 때 나시오날 입단을 시도했으나, 당시 키가 1.7m에 불과한 왜소한 체격과 가냘픈 다리 때문에 거절당한 경험이 있다. 하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고 1년 뒤 다시 입단을 요청하여 2군에 합류할 수 있었다. 2군에서 단 5경기 만에 뛰어난 실력을 입증한 스카로네는 곧바로 1군으로 승격되었다.[14]
나시오날 외에도 스카로네는 유럽 무대에서 활약했는데,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와 이탈리아의 인테르나치오날레, 팔레르모 등 명문 클럽에서 뛰었다. 그의 형인 카를로스 스카로네 역시 나시오날의 전설적인 선수로 활약했다.[15]
스카로네의 주요 클럽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클럽 | 대회 | 우승 연도 |
---|---|---|
나시오날 |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 1916, 1917, 1919, 1920, 1922, 1923, 1924, 1934 (8회) |
코파 데 오노르 | 1916, 1917 (2회) | |
코파 콤페텐시아 | 1919, 1921, 1923 (3회) | |
코파 알비온 | 1919 (1회) | |
코파 레온 페이루 | 1920 (1회) | |
토르네오 콤페텐시아 | 1934 (1회) | |
코파 데 오노르 쿠세니에르 | 1916, 1917 (2회) | |
코파 알다오 | 1916, 1919, 1920 (3회) | |
바르셀로나 | 코파 델 레이 | 1926 (1회) |
5. 2. 국가대표팀
엑토르 스카로네는 우루과이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그는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1917년, 1923년, 1924년, 그리고 1926년까지 총 4차례 우승을 경험했다. 또한 하계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두 번 목에 걸었는데, 이는 월드컵 출범 이전에 세계 선수권 대회의 위상을 가졌던[16][17] 1924년 파리 올림픽과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에서였다.[18]불과 19세의 나이로 참가한 1917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아르헨티나와의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 경기는 그의 4번째 국가대표팀 경기였다.
스카로네는 1930년 초대 월드컵에서 우루과이의 우승에 기여하며 화려하게 국가대표 경력을 마무리했다. 그는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총 52경기에 출전하여 31골을 기록했으며(이 중 21골은 비공식 경기에서 기록), 이 기록은 디에고 포를란이 2011년에 경신하기 전까지 우루과이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 기록으로 남아 있었다. 특히 1930년 7월 21일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 기록한 골은 월드컵 본선 역사상 19세기에 태어난 선수가 기록한 마지막 골로 기록되었다.
5. 3. 개인
6. 말년
은퇴 후, 스카로네는 축구 감독이 되었다. 그는 콜롬비아의 밀로나리오스 FC가 아직 아마추어 팀이던 1947년부터 1948년까지 팀의 두 번째 감독을 맡았다. 이후 1950년대에는 우루과이의 나시오날과 스페인의 레알 마드리드 CF 감독직을 역임했다. 그는 1967년 몬테비데오에서 나시오날 경기를 관람한 후 6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5][7] 스카로네의 장례식에서 그의 동료였던 호세 나사시는 "우리는 젊고, 승리했으며, 하나였다... 우리는 우리가 불멸이라고 믿었다."라고 회고했다.[14][4]
참조
[1]
웹사이트
Scarone, Héctor
https://atilio.uy/ju[...]
[2]
웹사이트
Celebrating king of tango Carlos Gardel, 80 years on from his death
https://english.elpa[...]
2023-04-17
[3]
웹사이트
Hector Scarone, the uruguayan wizard
https://www.inter.it[...]
2023-04-16
[4]
뉴스
Héctor Scarone, el 'mago' charrúa
https://www.marca.co[...]
As
2014-04-17
[5]
웹사이트
HECTOR SCARONE, THE URUGUAYAN WIZARD
https://www.inter.it[...]
INTER Official Site
2017-06-07
[6]
웹사이트
La AUF cumple 120 años
https://www.fifa.com[...]
2023-04-16
[7]
뉴스
Era un mago, genio, goleador, divo: la trayectoria de Héctor Scarone
https://www.elpais.c[...]
El País
2017-04-23
[8]
웹사이트
Héctor Scarone
https://www.olympedi[...]
2021-08-18
[9]
웹사이트
InfoPlus
http://es.fifa.com/m[...]
FIFA
2018-06-13
[10]
뉴스
Uruguay: dos Mundiales, cuatro estrellas
https://elpais.com/d[...]
2016-06-05
[11]
웹사이트
IFFHS All-Time Uruguay Men's Dream Team
https://www.iffhs.co[...]
IFFHS
2023-01-09
[12]
문서
현재의 처진 공격수
[13]
웹인용
HECTOR SCARONE, THE URUGUAYAN WIZARD
https://www.inter.it[...]
INTER Official Site
2017-06-07
[14]
뉴스
Héctor Scarone, el 'mago' charrúa
https://www.marca.co[...]
As
2014-04-17
[15]
뉴스
Era un mago, genio, goleador, divo: la trayectoria de Héctor Scarone
https://www.elpais.c[...]
El País
2017-04-23
[16]
웹인용
InfoPlus
http://es.fifa.com/m[...]
FIFA
2018-06-13
[17]
뉴스
Uruguay: dos Mundiales, cuatro estrellas
https://elpais.com/d[...]
2016-06-05
[18]
웹인용
Héctor Scarone
https://www.olympedi[...]
2021-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